입석대
정상과 만장봉 사이에 있는 아름다운 바위
용화산(龍華山)은 강원도 화천군과 춘천시의 경계에 있는 높이 875m의 산이다.
춘천시 사북면 고성리에 있는 용화산국립휴양림에 주차하고 사여령으로 오르는 길로 들어섰다
원점회귀를 위해서 사여령에서 능선에 올라 정상까지 등반을 하고 득남바위 가 있는 능선을 따라 내려오면 주차장에 올수 있다는 관리소 직원의 추천코스를 가기로 했다
한국전쟁때 쓰던 길이라는데 다시 자연환경을 살리기 위해 밤나무를 심었다
사람이 밟고 다니지 않으면 몇년이면 살아 날것이다
초하(初夏)의 숲에서 만나는 함박꽃은 이곳에서도 하얗고 큰 꽃망울을 터트리고 있다
숲으로 들어서자 바로 하늘을 가릴듯한 울창한 숲을 만난다
이제는 전국의 어디를 가나 성숙한 숲 그늘을 만난다
산림녹화라는 의미로는 바람직하나 덕분에 바람이 통하고 해가드는 땅에서 자라는 야생화가 점점 사라저 흔하게 보던 꽃들을
찾을수 없어 서운하다
길가에 햇빛이 있는 쪽으로 가끔 꿀풀(하고초)을 만난다
약초로 인기가 높아 지면서 생으로 먹기도 한다는데 산에서 만나면 그냥 야생화일뿐이다
꿀풀
참배암차즈기
한여름 더위속에 피는 뱀의 입모양으로 노란색꽃이 피는 참배암차즈기가 용화산을 오르는 동안 전 지역에서 자생하는 것을 본다
꽃이 피는 시기에 오면 좋은데 꽃사진을 찍는 회원님들이 산이 너무 힘들다고 하지 않을까 염려가 된다
솜나물가을꽃
솜나물 봄에도 꽃이 피지만, 가을에 또 한번의 꽃을 피운다. 가을에 피는 꽃들은 키가 한자는 될 만큼 높이 자라는데, 짧은 시간에 열매를 맺으려는지 꽃이 닫힌 상태에서 자가 수분한다
처음 솜나물가을꽃을 산에서 보고 알수 없어 오래동안 의문을 풀지 못했던 특별한 꽃이다
이제 가을에 다시 꽃을 피울 준비를 하고 있다
구절초
지도에 분명치 않은 지명이 사여령인것을 확인한다
배후령에서 시작해 용화산 정상을 지나 큰고개로 가거나 큰고개에서 용화산을 지나 여러지점의 하산코스중 하나를 택하는 것이 일반적인 등산코스로 보인다
은대난초
전국의 산 숲속에서 은대난초가 피는 것 같다
용화산의 능선은 바위 암릉이 많아 우회로를 가거나 시설물을 이용하지 않으면 위험 지역도 있다
능선을 가는 동안 양통으로 하산하는 길 안내가 많고 배후령과 큰고개를 안내하는 표지판도 많다
암릉사이에 있는 처녀치마 군락지
짙푸른 녹음으로 뒤덮힌 산은 한여름산의 열기가 난다
강원도의 고봉준령속의 산이라 높지 않아도 기후가 차서 민백미꽃 이제서야 한창이다
여러해동안 민백미꽃 피는 시기를 놓친터라 자주 카메라에 담았다
빛이 없는 어두운 숲에서 피는 민백미는 꽃을 찍기가 어려운 꽃이다
환하게 좋은 사진 한장을 얻지 못하는 까닭이 된다
정상이 가까워 지고 멀리 득남바위가 보인다
주능선의 바위길
주능선을 가는 동안 바라보이는 양통
춘천지역의 고봉이 첩첩이보인다
금마타리
위험지역에는 우회로가 있다
입석대
정상 전의 큰고개에서 시작하면 쉽게 정상으로 오를수있다
용화산
해발 878.4m의 용화산은 화천군 간동면, 하남면과 춘천시 사북면 경계에 솟아 있다. 화천군 민의 정신적 명산이며 해마다 용화축전시 산신제를 지낸다. 전설에 의하면 이 산의 지네와 뱀이 서로 싸우다 이긴 쪽이 용이 되어 하늘로 올라갔다 하여 용화산이라 이름지어 졌다. 암벽등반을 하지 않고도 암벽등로를 누비는 재미를 맛볼 수 있다. 득남바위, 층계바위, 하늘벽, 만장봉, 주전자바위, 작은 비선대 등 숱한 기암괴석과 백운대 코스와 비슷한 깔딱고개까지 있어 온종일 바위등로를 오르내리게 된다. 특히 858m봉에서 정 상까지는 지그재그로 이어지는 암릉 코스여서 스릴만점이다. (한국관광공사 홈페이지에서)
정상에서는 잡목으로 보이는 것이 없어 조망할수 없었고 다시 858봉 까지 되돌아와서 양통쪽으로 하산하기 시작했다
용화산정상
멀리서 올려다 볼때 하늘 가득 기암으로 된 능선이 보이는 멋진 산이다
산행내내 암릉을 오르내리는 맛이 있고 가끔 전망이 터지는 곳에서는 주변의 고산이 많아 경관도 좋다
그러나 정상에서는 보이는 것이 없었다
금마타리
노랑갈퀴
우리나라 중부이북의 깊은 산의 숲에 나는 다년초
도깨비부채
도깨비부채
수골무꽃
우리나라 각처의 산지의 숲속에 나는 다년초
호골무꽃
우리나라 깊은 산에 나는 다년초
민백미꽃
민백미꽃
참조팝나무(장미과의 조팝나무속)
중부 이북의 산 중턱 이상이나 산골짜기에 나는 낙엽 관목
'산행 > 명산 근교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리 천왕봉 - 중봉 하봉 써리봉 단풍 (0) | 2008.10.14 |
---|---|
해안분지 펀치볼 주변산 (0) | 2008.09.29 |
무지치폭포로 오르는 운악산(雲岳山) (0) | 2008.05.15 |
강원도 태백의 진귀한 꽃들 (0) | 2008.05.10 |
이천 도드람산 (0) | 2008.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