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자운영블로그

한국에 자생하는 식물/야생난60

외떡잎식물 대흥란 대흥란(난초과) 산지의 숲속에서 부엽질이 많은 비옥한 땅에 사는 부생식물이다 생물의 사체에서 생긴 영양물들을 섭취하며 미생물이나 세균으로 부터 광합성및 화학활동을한다 대흥란(난초과) 꽃대는 근경 끝에서 나서 곧추서고 하부에 기부가 짧은 엽초로 된 막질의 비늘잎이 있다 대흥란(난초과) 꽃은 백색에 홍자색을 띠며 2~6개의 꽃이 성글게 달린다 대흥란(난초과) 대흥란(난초과) 뿌리는 옆으로 길게 뻗어 군락을 이루기도 하고 비가 내려 습기가 많으면 꽃대를 올려 7~8월 중 비 내린 후에 잎이 없는 꽃줄기가 올라온다 대흥란(난초과) 두륜산 대흥사에서 발견되어 대흥란이라 이름을 얻었고 멸종위기 2급으로 보호 받지만 전국의 산지에서 발견되어 보기 어려운 식물은 아니다 2020. 7. 29.
새우난초 새우난초(난초과) 단자엽식물에 속하는 난초과는 국화과 콩과 다음으로 큰 과(科)로 난초과 식물중 세계에 가장 많이 분포해 열대와 온대에 주로 분포하고 아프리카 아메리카 열대지방 까지도 자란다고 알려져 있다 새우난초(난초과) 꽃모양이 웅크린 새우등을 닮아서 새우란이라 하고 (.. 2020. 5. 10.
대흥란 대흥란(난초과) 올해는 대흥란이 실한 꽃대를 올렸다 비가 간간이 내려 새로 올라오는 탐스런 꽃대도 보인다 대흥란(난초과) 숲으로 들어오는 빛에 잘 찍어도 한계가 있어 매년 사진은 찍어도 올려보지 못한 대흥란이다 대흥란(난초과) 흰색은 사그라지고 있는 중 발밑에 새로 내민 꽃봉.. 2019. 7. 26.
흰제비란 흰제비란(난초과) 습지이면서 볕이 잘 드는 곳 고산의 산 중턱에서 만나는 흰제비란 올해의 작황은 최근 몇년 중 드물게 상태가 좋다 흰제비란(난초과) 6월 중순 7월 초순 가뭄 끝에 우기로 드는데 올해는 6월에 비가 적절히 내려 이시기에 피는 꽃들의 상태가 좋다 흰제비란(난초과) 7월 .. 2018. 7. 20.
약난초 약난초(난초과) 약난초가 싱싱하게 핀 것도 오랫만이고 한두 포기가 아닌 여러포기인 것도 오랫만이라 감사하고 또 감사했다 약난초(난초과) 남부의 따뜻한 지방에 분포하고 산지의 숲속에서 자란다 긴 잎자루를 가지고 있고 꽃대 끝에 이삭모양의 꽃이 매달린다 약난초(난초과) 약난초(.. 2016. 5. 27.
한라새우란 한라새우란(난초과) 새우란과 금새우란의 교잡종이라 금새우란과 함깨 산다 한라새우란(난초과) 제주도에서 금새우란을 찾아가면 한라새우란도 같이 있는 경우가 많다 한라새우란(난초과) 어디를 봐도 한라새우란에 대한 정확한 자료가 없어 아직은 금새우란이라 해야 할 듯 하다 한라.. 2016. 5. 14.
금새우란 금새우란(난초과) 이래봬도 오름을 빡세게 산행 한 후에 만난 자연산 금새우란이다 듬성 듬성 몇포기 안되지만 빗방울이 오락가락 하는 숲속에서 정신 없이 담았다 금새우란(난초과) 제주도에서 금새우란은 삼나무 아래에 있어 자연산으로 보이는데 식재한 것도 많다니 자생지를 꼭 보.. 2016. 5. 14.
보춘화 (報春花) 보춘화(報春花) (난초과) 이른 봄에 피어나는 야생난이라 춘란으로도 부르기도 한다 개화기간이 길어 분에 심어 관상하려고 함부로 채취하는 사람들이 많아 자연에서 사라져가는 꽃이다 보춘화(報春花) (난초과) 보춘화(報春花) (난초과) 보춘화(報春花) (난초과) 보춘화(報春花) (난초과) .. 2016. 4. 7.
비자란 콩짜개덩굴 석곡 비자란(난초과) 5월 초순에 제주행을 하는 것은 야생난이 많이 피기 때문이다 야생난이라고 해도 꽃 피는 기간이 길지 않은 봄철의 난초 중 비자란은 바위나 썩은 나무 등걸에서 자라 찾기도 만만치 않고 사진도 어렵다 비자란(난초과) 콩짜개덩굴(양치류) 포자로 번식을 하는 양치류의 .. 2015. 6.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