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자운영블로그

한국에 자생하는 식물/한국의 야생화 1156

털진득찰 털진득찰(국화과) 설상화는 황색이고 끝이 3개로 갈라진다 총포편은 5개 주걱모양으로 꽃을 둘러싸며 녹색으로 선모가 밀생한다 털진득찰(국화과) 전국에 분포하지만 남부지방에서 우점한다 털진득찰(국화과) 잎은 대생하고 타원상 바소골이며 가장자리에 잔톱니와 함깨 가시 같은 털이 있다 털진득찰(국화과) 원줄기에 복모가 있고 가지가 갈라지며 갈자색이다 털진득찰(국화과) 털진득찰(국화과) 털진득찰(국화과) 열매는 수과로 도란형이고 4개의 능각이 있고 다른 물체에 잘 붙으며 관모가 없다 도깨비바늘, 도꼬마리, 털진득찰 모두 같은 국화과지만 도깨비바늘은 늦은 여름부터 겨울까지 계속 꽃이 피고 가시도꼬마리는 9월 중순부터 털진득찰은 10월15일 경 부터 꽃을 피웠다 2022. 10. 29.
가시도꼬마리 가시도꼬마리(국화과) 수꽃20210916~0921 수꽃의 두화(頭花)는 화서의 위쪽에 붙고 수꽃 아래쪽에 총포에 싸인 암꽃2개가 달린다 가시도꼬마리(국화과) 잎은 어긋나기 하고 길이 6~12cm의 잎자루가 있고 가장자리에 크기가 다른 뭉특한 톱니가 있다 넓은 난형으로 3개로 갈라지며 3맥이 뚜렸하다 전초에 붉은색 계통의 보라색 반점이 있다 가시도꼬마리(국화과) 20210923 열매모양의 구형각두(열매를 싸고 있는 받침) 암꽃은 2개의 돌기 모양으로 타원형의 총포에 싸여있다 (총포:꽃자루가 단축되어 포가 한쪽으로 밀집된다) 가시도꼬마리(국화과) 수꽃 암꽃 북아메리카원산의 한해살이풀로 아메리카와 유럽에 분포하고 국내에는 전국에 분포하지만 도꼬마리는 중부이북에 가시도꼬마리는 남부지방에서 우점한다 가시도꼬마리(.. 2022. 10. 29.
어저귀 유용한 자원식물 어저귀(아욱과) 인도원산의 섬유식물로 한해살이풀이다 꽃받침조각과 꽃잎이 5장 밑부분이 합쳐지고 수술은 합쳐서 통처럼 되고 암술은 10여개의 갈라진 씨방이 있다 어저귀(아욱과) 꽃은 8~9월에 피고 한달후에는 씨앗이 익는다 전초는 부드러운 털이 있고 속이 비어있고 단단하고 질긴 줄기는 밟으면 어석이는 소리가 나 어저귀라 불렀다 한다 어저귀(아욱과) 적습한 수분조건을 좋아해 과습한 땅에는 살지 않는다 모래가 적절히 섞이 땅을 좋고 해양성이 아닌 대륙성기후에 분포해 남부보다는 북쪽으로 갈수록 출현빈도가 증가한다 어저귀(아욱과) 줄기에서 윤기가 나는 섬유를 채취한다 수분에 잘 견디는 성질이 있어 물기있는 곳에서 사용하는 로프와 마대를 만들고 찌거기는 종이원료로 사용했다 어저귀(아욱과) 씨앗 화학섬유에 밀려나 재.. 2021. 10. 18.
갯까치수염 꽃 열매 씨앗 갯까치수염(앵초과) 제주도 울릉도 남해안의 바닷가에 사는 염생식물이다 전해에 떨어 씨앗이 발아해 6~7월에 개화하는 이년초 갯까치수염(앵초과) 잎은 다육질로 윤기가 돌며 주걱 같은 거꿀피침형이고 잎사이에서 작은 꽃자루는 비스듬히 퍼지고 흰색의 꽃이 총상꽃차레로 핀다 갯까치수염(앵초과) 줄기는 붉은 빛을 띠고 곧게 선다 자라면서 윗부분에 많은 가지를 치고 6월 초순에 개화가 시작 한달 정도 7월중순까지 연이어 핀다 갯까치수염(앵초과) 열매는 삭과로 둥글고 끝에서 작은 구멍이 뚫려 종자가 나온다 갯까치수염(앵초과) 갯까치수염(앵초과) 갯까치수염(앵초과) 2020년 긴장마와 태풍으로 일광해안은 모래땅이 유실되었고 새로운 갯바위가 나타났다 그곳에 살던 식물들은 소금기에 말라 죽거나 높은 파도에 떠내려갔거나 .... 2021. 7. 5.
꼭두서니 갈퀴꼭두서니 꼭두서니(용담목 꼭두서니과) 뿌리로 염색을 하면 붉은색이 들어 우리말 꼭두색에서 꼭두서니라 이름이 붙었다 꼭두서니는 식물의 이름이고 천색 穿色 (뚫을 천 빛색)이 우리말 꼭두서니에 가까워 색의 이름으로도 쓴다 꼭두서니(용담목 꼭두서니과) 산지와 들에 나는 다년초 숲가장자리에 산다 뿌리는 굵은 수염뿌리로 노란빛이 도는 붉은색이다 꼭두서니(용담목 꼭두서니과) 줄기는 네모나고 가지를 치며 밑을 향한 짧은 가시가 난다 잎은 심장형으로 네장씩 돌려난다 갈퀴꼭두서니(용담목 꼭두서니과) 원줄기에서 6~10개 긴 타원상 잎이 돌려나고 윗면은 깔깔하고 뒷면 맥위와 가장자리에 짧은 가시가 있다 갈퀴꼭두서니(용담목 꼭두서니과) 5~6월에 빠르게 성장하고 깔깔한 잎면과 가시로 찍찍이 처엄 주변에 있는 사물 어디에나 붙는다 갈.. 2020. 11. 19.
참느릅나무 참느릅나무(느릅나무과) 느릅나무는 키큰 수목이면 참느릅나무는 낙엽활엽교목이다 참느릅나무(느릅나무과) 남부지방에서는 참느릅나무가 많고 가지가 직선으로 뻗어 불규칙하게 가지를 뻗는다 참느릅나무(느릅나무과) 9월 중순이후 꽃이 피고 10월에 열매가 성숙한다 느릅나무 열매와 구별이 쉽지 않지만 새가지의 잎겨드랑이에서 양성화가 모여 달린다 참느릅나무(느릅나무과) 참느릅나무(느릅나무과) 느릅나무 중 생활속에 유용한 식물이라 참느릅나무 참느릅나무(느릅나무과) 어린잎과 줄기는 식용하고 껍질은 끈을 만들고 목재는 재질이 견고해서 대지의 지킴이라 한다 참느릅나무(느릅나무과) 참느릅나무(느릅나무과) 참느릅나무(느릅나무과) 5월에서 6월 사이 왕성한 먱아력으로 잎을 만들고 줄기를 만들어 빠른 성장을 한다 참느릅나무(느릅나무과.. 2020. 11. 15.
느릅나무 느릅나무(느릅나무과) 전국의 계곡 근처에 사는 낙엽활엽수목이다 부산의 해안가에 참느릅나무보다 드물게 느릅나무도 있다 느릅나무(느릅나무과) 4~5월에 꽃이 피고 10월에 씨앗이 익는다 꽃의 형태가 단순해 바람으로 수분이 되는 풍매화다 느릅나무(느릅나무과) 열매는 날개 상부에 치우져 있다 느릅나무(느릅나무과) 월줄기가 곧게 자라고 많은 가지가 생겨 둥근수형을 이룬다 느릅나무(느릅나무과) 느릅나무(느릅나무과) 느릅나무(느릅나무과) 느릅나무(느릅나무과) 줄기가 직선으로 자라는 왼쪽은 참느릅나무 둥근 수형으로 자라는 오른쪽은 느릅나무 느릅나무(느릅나무과) 느릅나무 수피 20200622 느릅나무(느릅나무과) 느릅나무의 어린잎 20200622 2020. 11. 15.
해변싸리의 아름다운 꽃 해변싸리(콩과) 밑둥에서 찢어져 나뒹구는 뿌리는 직경이 5mm이상 되는 제법 굵은 줄기였다 해변싸리(콩과) 지난 해 겨울에도 늦동이를 봤는데 혹시나 꽃이 필까 내심 고개를 뽑고 기다렸다 해변싸리(콩과) 철사 줄 같은 가는 줄기에 꽃눈이 살아 꽃이피니 감동이다 해변싸리(콩과) 잎은 누렇게 겨울을 향해 가는데 어디서나 꽃눈이 나오니 이해하기 어려운 열정이여라 해변싸리(콩과) 같은 가지에서 꽃눈이 죽은 곳은 죽은 가지로 꽃눈이 살은 곳은 진홍의 꽃이 해변싸리(콩과) 해변싸리(콩과) 올해 땅속뿌리 주변에서 맹아가 올라오더니 가을에 꽃을 피웠다 해변싸리(콩과) 생명이 있는 것 들은 위기를 느끼면 최선을 다 해 자손을 남기는 본능이 있다는 것을 믿어본다 해변싸리(콩과) 해변싸리(콩과) 해변싸리(콩과) 해변싸리(콩과.. 2020. 11. 7.
괭이싸리 괭이싸리(콩과) 대부분의 싸리속이 관목 또는 아관목이지만 괭이싸리는 다년생 초본이다 줄기와 잎에 잔털이 있고 뒷면에는 빽빽한 털이 밀생한다 괭이싸리(콩과) 20200823 모습을 들어낸 처음 만난 괭이싸리 괭이싸리(콩과) 잎은 어긋나기 하고 잎겨드랑이에서 꽃차례가 나와 3~5개의 꽃이 핀다 괭이싸리(콩과) 괭이싸리(콩과) 꽃받침은 깊고 가늘고 5개로 갈라지고 털이 밀생 꽃잎은 거꿀달걀모양 기부에 자줏빛이 돈다 진정화 보다 닫힌꽃이 잘 결실한다 괭이싸리(콩과) 햇빛이 뜨거운 여름을 보내고 기는 줄기가 숲을 나와 가을빛과 바람에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는다 곧 겨울이 오는데... 겨울에도 따뜻한 남쪽이기에 가능한 일이다 괭이싸리(콩과) 남부지역에 살아 중부이북에서는 볼수없었던 식물이다 봄 여름을 지나는 동안 .. 2020. 10.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