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자운영블로그

한국에 자생하는 식물/백두산 야생화116

백두산 5월의 야생화 가는잎개별꽃(석죽과) 개별꽃 가문에 이런 잎을 가진 꽃이 있다니 처음 가는잎개별꽃을 만났을때의 놀라움이다 긴 선형의 잎이 대생하고 점차 좁아져 끝이 좁아지고 털이 없다 가는잎개별꽃(석죽과) 꽃은 끝이 얕게 둘로 갈라지고 백색으로 피며 털이 없다 가는잎개별꽃(석죽과) 복주머.. 2017. 6. 13.
백두산 5월의 야생화 백작약 백작약(미나리아재비과) 토양이 비옥한 산그늘 각처의 산지에서 나는 다년생이다 백두산 자락의 산지에서 헤아릴수없이 많은 무더기로 군락을 이루는 백작약의 꽃밭을 만났다 백작약(미나리아재비과) 뿌리를 약용으로 쓰는 약재 우리나라에는 고산에서 드물게 만나지만 이도백하에서.. 2017. 6. 13.
털대제비꽃 털대제비꽃(제비꽃과) 기온이 떨어지고 바람이 불면서 비도 내렸다 아무것도 할수없을 것 같은 날 보기 어렵다는 털대제비꽃 때문에 완전무장을 하고 자생지를 찾았다 털대제비꽃(제비꽃과) 우산까지 쓰고 셧터 속도 높이고 겨우 담아 온 사진은 6장이 고작이다 털대제비꽃(제비꽃과) 키30cm 오도촌 일대의 숲속에 물기 많은 곳 5월초순에서 중순까지 노란색 꽃이 줄기에 달린 3개의 잎 중 2번째 잎의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줄기에 달린 잎은 3개이다 땅속줄기가 옆으로 긴다 털대제비꽃(제비꽃과) 털대제비꽃(제비꽃과) 털대제비꽃(제비꽃과) 백두산 꽃탐사를 오랫동안 다닌 분도 털대제비꽃의 자생지를 아직은 한 곳 뿐이라 했다 한국의 백병산에 있다니 볼수있는 날이 있기를 바래 본다 2017. 5. 22.
패모(貝母) 패모(백합과) 한의학에서 패모는 부전패모와 조선패모로 구별하지만 국생종에는 중국패모와 패모로 만 구별한다 패모(백합과) 황록 바탕에 자주무늬의 부전패모는 북한의 부전지방에 산다니 볼수없는 꽃이라 백두산 언저리의 조선패모를 그냥 패모로 부르는 것이 맞는 것 같다 패모(백.. 2017. 5. 22.
백두산 야생화 5월 탐사기행 조선패모(백합과) 조선패모는 5월 10일 전후에 피어 백두산을 여러번 방문해도 보지 못했던 식물이다 조선패모(백합과) 봄꽃이 피는 시기가 저마다 달라 먼길을 가서 함깨 볼 야생화가 많지 않아 출사기획을 하지 않기 때문이다 조선패모(백합과) 숲그늘에 한포기 두포기 군락을 이루기 .. 2017. 5. 17.
6월의 백두산 만년설과 야생화 (2016)1 노랑만병초(진달래과) 얼음처럼 차가운 바람이 불고 더러는 눈이 쌓인 길을 힘들게 올라 비밀의 화원을 만났다 노랑만병초(진달래과) 깊은 산속에 광활한 벌판이라니 노랑만병초와 이맘때 피는 고산 야생화가 지천이다 노랑만병초(진달래과) 하루 종일 찌푸둥한 하늘 바람 조차 불어 걷.. 2017. 1. 13.
백두산 야생화 함경딸기 개속새 풍선난초 함경딸기(장미과) 올해의 기후는 함경딸기가 자라기에 좋았나 보다 몇년 동안 백두산의 습지에서 이처럼 풍성한 함경딸기꽃은 처음이였다 함경딸기(장미과) 천도딸기 두메딸기라는 이명이 있고 딸기나무로는 가장 높은 곳의 습지에 산다 함경딸기(장미과) 장미과의 식물이지만 줄기에 .. 2016. 7. 16.
백두산 야생화 민솜대 은방울꽃 기생꽃 린네풀 장지채 애기황새풀 좁은잎백산차 민솜대(백합과) 이도백하의 황송포습지는 국내의 야생화 애호가들도 한번 쯤 다녀 온 곳이라 민솜대도 해마다 만나는 백두산의 야생화가 되었다 민솜대(백합과) 습지에 사는 솜대속 식물이다 우리나라에는 없는 식물이라 민솜대로 부르는 다른 식물이 있는 것을 생각하면 혼란스럽다 민솜대(백합과) 민솜대(백합과) 은방울꽃(백합과) 은방울꽃이 습지에 피니 꽃도 싱싱하고 상처가 없다 황송포습지에서 만나는 은방울꽃은 유난히 아름답다 은방울꽃(백합과) 은방울꽃(백합과) 은방울꽃(백합과) 기생꽃(앵초과) 설악에서 만나는 참기생꽃 보다 전초가 작고 한줄기에 두세송이의 꽃을 피운다 기생꽃(앵초과) 린네풀(인동과) 가늘고 작은 전초와 꽃 초본이 아니고 상록소관목이다 콩팥노루발(노루발과) 잎이 밑부분에서 어긋나며 둥근 콩팥 모양이다 .. 2016. 7. 16.
백두산 야생화 좀설앵초 장백제비꽃 숙은꽃장포 가지돌꽃 좀설앵초(앵초과) 설앵초에 비해 전초가 작고 설앵초의 잎이 도란형이면 좀설앵초의 잎은 도피침형(바소꼴)이다 잎은 거꾸로 세운 창과 같고 길이가 너비보다 몇배가 되며 밑 부분이 넓으며 끝이 뾰족하다 좀설앵초(앵초과) 좀설앵초는 자주색으로 피고 흰색으로 피는 꽃은 변종이다 좀.. 2016. 7.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