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 자생하는 식물/백두산 야생화116 2018 백두산 털복주머니란 털복주머니란(난초과) 왕청의 천교령에서 트인 공간에 일찍핀 꽃이 드문 드문 한두송이씩 복주머니란 사이에 피었다 털복주머니란(난초과) 다음 날 묘령의 고갯길 다양한 색갈로 피던 복주머니란은 전멸이고 털복주머니란 군락은 세력이 줄어 들어 방석 크기 만큼 남았다 아마도 숲이 .. 2018. 6. 26. 20180601 백두산 언저리 복주머니란 2 복주머니란(난초과) 막 피기시작한 싱싱한 꽃과 맑은 하늘과 힌구름 이른 새벽의 이슬 복주머니란(난초과) 소원했던 대로 이슬이 뚝 뚝 떨어지는 꽃송이위로 맑은 햇빛이 쏟아진다 복주머니란(난초과) 바짓가랑이가 젖어 발등을 덮어도 꽃을 따라 넓은 벌판을 헤맸다 복주머니란(난초과).. 2018. 6. 22. 20180530 백두산 언저리 복주머니란 1 복주머니란(난초과) 국내의 봄꽃시기가 빨라져 3일을 앞 당겨 출국 첫날 출사지 회령마을로 들었다 노랑복주머니란(난초과) 햇수로 6.7년은 지난 듯 한데 모퉁이집 개 짖는 소리는 여전히 소란하다 복주머니란(난초과) 준비는 철저히 했지만 여행가방속에 있어 무방비로 들어서니 소나기.. 2018. 6. 22. 백두산 가는 길 야생화 실부추(백합과) 잎은 가는 실 모양 9~10월에 홍자색 꽃이 핀다 실부추(백합과) 옹긋나물(국화과) 나도꼬리풀 꼬리풀이라는 것은 알겠는데 나도꼬리풀은 생소하다 나도꼬리풀 나도꼬리풀 나도꼬리풀 나도꼬리풀 나도꼬리풀 국내에서 본 일이 없고 자료도 없어 이름만 붙인다 층층이꽃(꿀푹과) 도라지(초롱꽃과) 꽃송이가 실해서 탐스럽기까지 한 도라지꽃을 만났다 도라지(초롱꽃과) 패랭이꽃(석죽과) 진홍빛으로 피어난 패랭이꽃의 유혹 여기까지 와서 패랭이꽃을 ... 하면서도 셔터를 누른다 패랭이꽃(석죽과) 달구지풀(콩과) 박하(꿀풀과) 검은도루박이(사초과) 민매화마름(미나리아재비과) 백두산 언저리의 매화마름은 물속에 깊이 잠겨서 산다 물 밖에서는 볼수가 없어 건져 올려 관찰했다 민매화마름(미나리아재비과) 물속에서 꽃을 피우.. 2017. 8. 24. 백두산 8월 야생화 열매 까치밥나무(범의귀과) 열매는 털이 없으며 둥글고 붉은색으로 익는다 월귤 (진달래과) 들쭉(진달래과) 들쭉(진달래과) 함경딸기(장미과) 함경딸기(장미과) 넌출월귤(진달래과) 넌출월귤(진달래과) 매년 찾아가는 습지에서 6월에 꽃을 피웠던 열매를 만났다 해마다 꽃이 빈약하니 열매 역.. 2017. 8. 21. 백두산 8월 털동자꽃 제비동자꽃 분홍바늘꽃 털동자꽃(석죽과) 진초록 숲에 선명한 주홍색의 꽃 전초에 길고 연한 털이 있다 통 모양이 꽃받침과 5장의 꽃잎은 납작하게 벌어지고 끝이 깊게 2갈래로 갈라진다 털동자꽃(석죽과) 비슷한 동자꽃중에 털동자꽃이 가장 먼저 피고 동자꽃 제비동자꽃의 순으로 핀다 털동자꽃(석죽과) 제비.. 2017. 8. 21. 백두산 8월 야생난 호설란 쌍잎란 구름병아리란 호설란(유령란) 자주내린 비로 습기를 먹어 파란 이끼는 촉촉하고 푸근했다 하늘을 가리는 낙엽송 숲 호설란이 자라기에는 최적의 조건이라 기대를 많이 했지만 이제 막 분위기가 무르익어 꽃대를 올리는 중 한발이 빨랐다고 해야 할 것 같다 호설란(유령란) 아쉬움이 많아 찍고 또 찍고 .. 2017. 8. 17. 서파로 오르는 8월의 백두산 야생화 백두산 천지와 바위구절초 바람이 체온을 날려 손이 시리도록 추위가 느껴졌다 검은 구름사이로 붉은해가 보이기에 바람이 불어 구름을 밀어 내기를 기대했다 백두산 천지와 바위구절초 가능성이 있을 것 같은하늘 간절하게 고대했지만 하늘은 점점 어두워졌고 바람도 멈추지 않았다 .. 2017. 8. 17. 백두산 5월의야생화 홀아비바람꽃 홀아비바람꽃(미나리아재비과) 봄꽃중에도 일찍 피는 봄꽃이다 경기도와 강원도에 분포하는 한국특산식물이라 하는데 전국의 고산에서 살고 백두산자락에는 대규모의 군락지가 있다 홀아비바람꽃(미나리아재비과) 홀아비바람꽃(미나리아재비과) 꽃대가 하나씩 자라 홀아비바람꽃인데.. 2017. 6. 13. 이전 1 2 3 4 5 6 ··· 13 다음